💡 yum 명령어와 dnf 명령어
- Rocky Linux 8부터는 yum 대신 dnf가 기본 패키지 관리자
- yum도 사용 가능하지만 내부적으로는 dnf가 호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dnf 가 권장됨
1. 시스템 업데이트
sudo dnf update -y
시간이 조금 걸렸으나 주르륵 뭔가 로딩되면서 Complete!
2.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y \
> vim nano wget url net-tools \
> bind-utils telnet traceroute \
> man-pages man-db bash-completion \
> lsof tcpdump firewalld \
> policycoreutils-python-utils \
> iptables iproute \
> gcc make tar unzip \
> openssh-server sudo \
> passwd
패키지 이름 | 설명 |
vim, nano | 텍스트 편집기 (서버 설정 파일 편집 시 필수) |
wget, curl | 인터넷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HTTP 통신 확인용 |
net-tools | ifconfig, netstat 등의 오래된 네트워크 도구 모음 |
bind-utils | dig, nslookup 등 DNS 질의 도구 |
telnet | TCP 연결 테스트용 (포트 열림 확인 등) |
traceroute | 패킷 경로 추적 도구 (네트워크 경로 분석용) |
man-pages, man-db | 매뉴얼 페이지 관련 (명령어 도움말 man 사용 시 필요) |
bash-completion | 명령 자동 완성 지원 (tab 키 보완 기능) |
lsof | 열려 있는 파일 확인 (list open files) |
tcpdump | 네트워크 패킷 캡처 및 분석 도구 |
firewalld | 동적 방화벽 관리 시스템 (기본 방화벽) |
policycoreutils-python-utils | SELinux 설정 및 관리 도구 포함 |
iptables | 전통적인 방화벽 규칙 설정 도구 |
iproute | ip 명령 제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라우팅 등 관리) |
gcc, make | C 컴파일러 및 Make 유틸 (소스 컴파일 시 필요) |
tar, unzip | 압축 해제 도구 (tar.gz, .zip 등) |
openssh-server | SSH 서버 설치 (원격 접속 가능하게 함) |
sudo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실행 가능하게 함 |
passwd |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도구 |
마찬가지로 Complete!
3. SSH 활성화 (원격 접속용)
sudo systemctl enable sshd
sudo systemctl start sshd
4. 방화벽 설정 (기본 허용 규칙)
sudo systemctl enable firewalld
sudo systemctl start firewalld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sh
sudo firewall-cmd --reload
5. Apache 설치
1) httpd 설치
sudo dnf install -y httpd
2)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자동 실행 설정
sudo systemctl start httpd
sudo systemctl enable httpd
3) 방화벽에 HTTP 80번 포트 허용 설정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sudo firewall-cmd --reload
4) httpd 설정 파일 확인
cat /etc/httpd/conf/httpd.conf # 메인설정파일 확인
cat /etc/httpd/conf.d # 추가설정파일 목록 보기
6. FTP 설치
1) vsftpd 설치
sudo dnf install -y vsftpd
2)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시 자동 실행
sudo systemctl start vsftpd
sudo systemctl enable vsftpd
3) FTP 21번 포트 방화벽 허용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sudo firewall-cmd --reload
4) SELinux 허용
sudo setsebool -P ftp_home_dir=1
여기서 문제 발생..
나는 ftp_home_dir 이 생성되지 않았음
getsebool -a | grep ftp
위 명령어를 사용하 ftp_home_dir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없다 ... 이유는
1. SELinux 정책 패키지 설치 시 누락되었거나
2. vsftpd 관련 SELinux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3. 처음에 minimal ISO로 설치해서 일부 정책이 빠졌거나
라고 한다.
필요한 SELinux정책과 유틸리티 패키지를 다시 설치했다.
sudo dnf install -y \
> selinux-policy \
> selinux-polcy-targeted \
> setools-console \
> libselinux-utils
패키지 | 역할 |
selinux-policy | SELinux의 일반 정책 모음 |
selinux-policy-targeted | 대부분의 서버에 적용되는 Targeted 정책 (기본) |
policycoreutils | SELinux 기본 유틸리티 모음 (restorecon, setfiles 등) |
policycoreutils-python-utils | semanage, setsebool 같은 고급 도구 포함 |
libselinux-utils | getenforce, setenforce 같은 저수준 SELinux 제어 도구 |
setools-console | 정책 분석 도구들 포함 (선택 사항, 고급용) |
위 패키지 설치 후 reboot 해도 해결은 되지 않았다 .
일단 포기하고 간다. SELinux 꺼도 실습 환경에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한다.
# 설정파일 수정
vi /etc/selinux/config
SELINUX=disabled # enforcing -> disabled 수정
reboot # 시스템 재부팅
7. Samba 설치
1) samba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y samba samba-client samba-common
8. NFS 설치
1) NFS 관련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y ntf-utils
2) rpcbind 설치 여부 확인
rpm -q rpcbind
3)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
mkdir -p /srv/nfs/share
chown nobody:nobody /srv/nfs/share
chmod 0777 /srv/nfs/share
4) 설정파일 (/etc/exports) 편집
vi /etc/exports
/srv/nfs/share *(rw,sync,no_root_squash) # 내용 추가
* : 모든 클라이언트 허용
rw : 읽기/쓰기
sync : 데이터 실시간 쓰기 (신뢰성 ↑)
no_root_squash : root권한 유지
5) NFS 서비스 시작 및 자동 실행 설정
sudo systemctl enable --now nfs-server
sudo exportfs -a
6) 방화벽 허용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mountd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rpc-bind
sudo firewall-cmd --reload
- NFS 설정 확인 : 설정한 공유 디렉터리와 접근 권한 출력
8. DNS 설치
1) bind 관련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y bind bind-utils
2) 설정 파일 확인
vi /etc/named.conf
3) named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시 자동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now named
sudo systemctl status named
4) 방화벽 설정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dns
sudo firewall-cmd --reload
9. 메일 서비스 설치
sendmail을 설치해야 하나 postfix를 설치해야 하나 ..
'일상 > IT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1급] Rocky Linux 실기 환경 셋팅하기 (0) | 2025.04.28 |
---|---|
[리눅스마스터 1급] 3과목 네트워크 서비스 정리 (0) | 2025.03.02 |
[리눅스마스터 1급] 3과목 웹 관련 서비스 정리 (1) | 2025.03.02 |
[2024 SQLD] SQLD 52회 시험 후기 (0) | 2024.03.11 |